안드로이드
-
[안드로이드] 내장 DB로 Realm 사용하기안드로이드 2020. 6. 1. 19:23
슥삭을 개발하면서 내장 DB를 써야 할 일이 생겼다. 아니 사실은 그 전부터 쓸 일은 많았는데, 미루고 미루다가 드디어 적용했다! 안드로이드에서 사용할 수 있는 내장 DB의 종류는 꽤 많은데, 내가 Realm을 선택한 이유는 정말 간단하다. ✨Realm을 선택한 이유 ✨ 데이터를 객체 형태로 저장한다. (쿼리문 싫어,,,) 커뮤니티가 활발하다. (구글링 열심히 하자!) 자 이제 realm을 사용해보자. 0. 설치하기 아래 코드를 프로젝트 수준 build.gradle에 추가한다. buildscript { repositories { jcenter() } dependencies { classpath "io.realm:realm-gradle-plugin:3.5.0" } } 다음 코드를 애플리케이션 수준 buil..
-
안드로이드 프로젝트에 RxJava 적용하기안드로이드 2020. 4. 12. 23:04
RxJava를 적용하여 비동기 작업이나 UI 이벤트를 효율적으로 처리해보자! 1. RxJava란? Reactive Extensions RxJava를 알아보려면, 먼저 'Reactive Extensions'에 대해 알아야 한다. 얘는 ReactiveX라고도 부르며, 이벤트 기반 비동기 프로그래밍을 위한 라이브러리이다. Reactive Extensions은 매 이벤트마다 그에 대응하는 동작을 정의하는 기존의 이벤트 처리 방식인 콜백 방식과 달리 발생하는 이벤트를 이벤트 스트림에 전달하고, 이벤트 스트림을 관찰하다가 원하는 이벤트를 감지하면 이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RxJava는 'Reactive Extensions' 라이브러리의 JVM 구현체로, Reactive Extensions 라이브..
-
'슥삭'의 아키텍쳐 (1) MVVM 디자인패턴안드로이드 2020. 3. 11. 22:13
이번 포스팅에서는 내가 개발하고 있는‘슥삭’의 안드로이드 아키텍쳐에 대해서 설명을 해보려고 한다. 👇아래는 해당 앱의 다운로드 링크 ㅎㅎ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icoo.ssgsag_android 사실 나도 사전 공부할 틈 없이 바로 이 친구들과 부대꼈기 때문에 그냥 감으로 어떻게 쓰는건지 익힌 것 같다. 디버깅하고 로그찍고 계속 빌드해보면서,,, 이번 기회에 내 머릿속도 정리하고 부족한 개념도 익히는 겸! 블로그 포스팅을 하려고한다. 그러니깐 틀린게 있으면 바로바로 태클 감사합니다. 우선, 슥삭에서 쓰이는 것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MVVM 디자인 패턴 2. ViewModel(AAC) 3. RxJava 4. Live Data 5..
-
코틀린을 코틀린답게 사용하는 법 - (4) 표준 라이브러리안드로이드 2020. 3. 11. 14:33
드디어 커니의 코틀린 4장에 진-입! 원래 저번 주까지 8장 끝내는게 목표였는데,, 깔끔하게 실패했다. 😂 그래도 늘어지지말고 파이팅 합시당 🐶❤️ 코틀린 표준 라이브러리에서 개발 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함수들을 정리해보자. 난 원래 조건을 확인하거나, 새로운 컬렉션을 만들어내거나 할 때 주로 if문 등을 이용했는데, 이번 포스팅을 통해 표준 라이브러리에서 제공하는 함수들을 아주 능수능란하게 써서 더 깔끔하게 코드를 짤 수 있도록 연습해야겠다. 조건 확인 함수 특정 값의 일치 여부 확인 : check(), require() 함수 혹은 생성자의 인자로 전달 받은 값을 사용하기 전에, 그 값의 유효성을 검사해야하는 경우가 있다. 버그를 방지하기 위해 명시적으로 에러 발생 사실을 알리고 프로그램을 종료해..
-
코틀린을 코틀린답게 사용하는 법 - (3)안드로이드 2020. 3. 8. 01:23
이번 포스팅에서는 자바와는 다른 코틀린의 특징에 대해서 다뤄 보도록 하겠다. (예진, 예원이 아주 빠른 속도로 공부를 하고 있다,, 빨리 쫓아가야겠다) 클래스 코틀린에서만 제공하는 특수한 클래스와 코틀린 클래스에서만 제공하는 기능에 대해 정리하겠다. 데이터 클래스 프로그램을 작성하다 보면 여러 유형의 자료를 다루게 된다. 예를 들어 Java에서 Person 이라는 유형의 자료를 클래스로 관리한다면, 1. Person이라는 class를 만들고 2. getter와 setter 메소드를 만들고 3. 필드가 추가됨에 따라 equals(), hashCode()등의 메소드들을 일일히 수정해야한다. 하지만, Kotlin에서는 데이터 클래스(data calss)라는 특별한 클래스를 제공한다. 데이터 클래스는 자료를 구..
-
코틀린을 코틀린답게 사용하는 법 - (2)안드로이드 2020. 3. 3. 00:41
코로나19 때문에 집에만 박혀있어서, 생각보다 빨리 돌아온 코틀린 공부 시간! 신난다아 😂 오늘 포스팅에선 비교적 가벼운 내용을 다뤄 보겠다 (책 순서가 그렇습니다요 ㅎ,ㅎ) 앗, 그리고 자바와 코틀린을 비교하는 것이 기반인 만큼 자바와 쓰임이 같은 것들은 따로 정리하지 않으려한다. (귀찮) 자료/자료형의 확인 및 변환 1. 자료의 동일성 확인 코틀린의 == 연산자는 비교하는 값의 null 여부를 함께 확인한다. 객체의 값을 비교: == 연산자 객체 자체가 동일한지 비교: === 연산자 2. 자료형 확인: is 연산자 3. 자료형 변환: as 연산자 흐름 제어 when 문 코틀린의 when은 자바의 switch 문을 대체한다. when 문도 if-else 문과 마찬가지로 값을 반환할 수 있으며, 다음과 ..
-
코틀린을 코틀린답게 사용하는 법 - (1)안드로이드 2020. 2. 29. 18:48
지난 25기 솝트 앱잼 팀과 함께 개발한 '얼리버디' 개발을 다시 시작한다. 원래는 서버 개발자였는데, 안드로이드로 갈아 탐 ㅋㅋㅋ (미안 정욱, 예지,,) 앱 자체는 거의 다 완성 했지만, 디자인 패턴과 아키텍처를 공부하고 적용해서 개발을 하기로 했다. 일단 첫번째 목표는 3월 4일까지 제목에서 쓴 것 대로 '코틀린을 코틀린답게 사용하는 법' 익히기. 커리큘럼은 [커니의 코틀린]의 목차를 따라가는 걸로 ! 2장 자바와 비교해보는 코틀린 3장 자바와는 다른 코틀린의 특징 4장 코틀린 표준 라이브러리 8장 코틀린 안드로이드 익스텐션 이번 포스팅에서는, 자바와 비교해보는 코틀린에 대해서 정리해보도록 하겠다. 컬렉션 1. 코틀린에서는 컬렉션 내 자료의 수정 가능 여부에 따라 컬렉션의 종류를 구분한다. 가변 타..